컨텐츠 바로가기



문서위치



무형유산 이야기

[국내리포트]전통을 되살린다 - 오늘날의 제와장(製瓦匠)

  •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13-05-23 조회수5942

                     전통을 되살린다. 오늘날의 제와장(製瓦匠)

 

 

 

2013. 05. 20, 문화재청은 전통 수제 기와와 전돌의 제작기준을 마련하여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를 개정, 관보에 고시하였다.

 

그 내용은 한식 기와와 전돌이 산업화로 인해 경제성과 효율성이 뒤처져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처해, 중요무형문화재 제91호로 제정된 제와장(製瓦匠)의 제작기법과 기와·전돌을 연구하여 개정된 시방서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전통 건축재료에 대한 제작기법이 전승·확산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산업화로 대신 할 수 있는 기와가 전통기와와 어떻게 다른지, 또 어떤 가치가 있는지 알기 위해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한국전통문화학교에 위치한 전통기와 가마터를 취재했고 인터뷰는 김창대 선생님이 응해 주셨다.

 

본격적인 글에 앞서 제와장과 기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제와장(製瓦匠)이란 한자 그대로 기와를 만드는 장인을 일컫으며, 한옥에 올라가는 기와를 만드는 제와장은 한옥에 기와를 잇는 번와장((?瓦匠)과 구분된다.

 

기와는 적당한 모래가 섞인 양질의 점토를 바탕흙으로 하여, 와통 및 막새틀 등의 제작 도구를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가마 속에서 1,000이상의 높은 온도로 구워 낸, 지붕을 덮는 건축 재료이다.

 

전통적으로 내구성·방화성·방수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장식이 더해져 한국적인 미의식은 물론 권위와 부귀의 상징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어 왔고 종류가 20여 종이 넘는다.

                                      

 

   

 

                                                                   봉황문 수막새, 분황사 출토


 

  ·수키와는 그 중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며 기왓골과 기왓등을 형성한다. 눈과 빗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장 보편화된 일반기와이다. 수키와는 반원통형 기와, 지붕 바닥에 이어진 두 암키와 사이에 이어져 기와등을 형성하고 암키와는 네모난 판형 기와, 지붕 바닥에 속면을 밖으로 향하도록 이어져 기왓골을 형성한다.

 

취재 중 부탁으로 김창대 선생님이 직접 가마터에서 암키와 제작과정을 보여주셨다.

 

기와제작 도구에는 물래와 와통, 바대, 나대 등이 있고 제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그 순서는 물레에 올려진 암키와 와통(원통형 기와형틀)에 암키와 통보(물을 뭍혀 나중에 와통과 기와가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천조각)를 두르고 미리 알맞은 크기로 잘려진 이긴 흙을 두르고 다시 반대편에 두른 뒤, 이음매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이긴 흙덩이를 붙여 다진 다음 물칠을 하고 문양이 그려진 바대를 두드리며 물래를 돌려 고르게 문양을 새긴 다음 건조장으로 옮기고, 와통과 통보를 빼내면 가마터에서 굽기 전 암키와가 완성되었다.

 

 

     

      

 

                                                                     ① 통보 두르기

 

  

        

                                                                                       

                                                                    ② 이긴 흙 두르기            

                                     

                                                                                              

                     

                                                                           

                                                                ③ 이긴 흙 두르기 2

                                                                                                

                                                                                                            

                            

                                         

                                                                       ④ 다지기                                                                       

                                                                                                                   

                               

                                                                            

                                                                ⑤ 바대 두드리기                                                                            

                                                            

                

                                                                                      

                                                                     바대 밑면                                                                                   

                                                                  

              

                                                

                                                             ⑥ 건조장으로 옮기기

 

                                                                                        

           

                                                                                                                                                    

                                                             ⑦ 굽기전 암키와 모습

                                                                                                                     

 

취재에 응해주신 김창대 선생님은 원래 부산시청 공무원을 하다가 1998년 다큐멘터리로 한형준 제와장님을 알게 되어서 그 때부터 전남 장흥에서 제와일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창대 선생님이 생각하는 전통기와가 가지는 가치는 기계가 생산하는 편리하고 정밀한 기와보다는 건물에 올라갔을 때 투박하고 자연스러운 멋을 낼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 기술의 보존 차원에서라도 수제기와의 제작방식이 전해져 내려와야 한다고 한다. 또한 일관성 있게 일감이 있지 않으면 기술이 전수되기 어렵다고 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계식 기와가 나쁜 것은 물론 아니다. 규격화되어 값 싸고 질 좋으며 정교한 기와를 제공해 주어 대중에게 한옥 보급에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건축문화재에 있어서 만큼은 원형보존과 문화재의 진정성을 고려해서 수제기와 제작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제와장,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사진 : 박민창 기자 / 국립무형유산원 블로그기자단

한국건축을 배우고 있는 학생이다. 항상 건축문화재가 사회의 문화컨텐츠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컨텐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