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문서위치



무형유산 이야기

이달의 인간문화재 아카이브 컬렉션ㅣ김숙자 보유자의 도살풀이춤 의상?

  • 작성자임지혜 등록일2018-03-28 조회수3587


김숙자 보유자의 도살풀이춤 의상 



조사연구기록과 노희진

도살풀이춤 사진 | 사진출처:2018 평창패럴림픽 공식 네이버포스트


 

지난겨울 , 하나 된 열정으로 평창을 가득 채웠던 올림픽의 마지막 밤 . 모두의 불꽃이 사라지던 그 순간 폐막식의 무대 위에는 흰옷에 흰 천을 든 무용수 한 명이 있었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 97 호 살풀이춤 전수교육조교 양길순 씨였다 .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그 무대를 전날 열린 한국 선수단의 밤 행사에서 이렇게 소개했다 .


" 폐회식 여러 공연 중 도당살풀이 , 줄여서 도살풀이라는 춤 공연이 있다 . 살이라는 건 우리가 사는 동안 부딪히는 나쁜 기운을 말한다 " 라며 " 그 살 중엔 ' 곡각살 ' 이란 게 있다 . 뼈가 부러지고 팔다리를 잃는 흉살인데 그 운명을 좋은 운명으로 바꿔 달라고 기원하는 춤이 도살풀이다 .“

( 출처 : 기사 , “ 패럴림픽 성화 , ‘ 운명 바꾸는 도살풀이와 함께 사라져 오마이뉴스 , 2018.03.18.)

 

폐회식 무대에 오른 양길순 씨가 선보인 도살풀이춤 . 그 춤은 서울과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기도당굿 중 마지막 거리에 추던 춤에서 파생되었다 . 도살풀이춤은 홍살과 재난을 소멸시켜 안심입명 , 나아가 행복을 맞고자 하는 기원에서 비롯되었으며 , 도살풀이에서만 보이는 특징적인 동작으로 인해 그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 도살풀이춤은 창우 김석창으로부터 그 아들인 김덕순 , 그리고 그 딸인 김숙자로 전해졌고 , 그녀의 딸인 김운선과 최윤희 , 양길순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


김숙자 보유자의 도살풀이 사진

허리를 질끈 동여맨 하얀 치마저고리 , 고개를 다소곳이 숙이고 두 발이 넘는 긴 명주 수건을 늘어뜨려 잡은 손을 허리에 짚고 서 있는 최초의 자세에서부터 장단과 함께 천천히 팔을 들어 올리는 정중한 매무새까지 그의 춤은 첫 움직임에서부터 큼직하게 마음을 흔든다 .

그의 춤에는 놀이판의 신명처럼 넘치는 흥겨움이 아니라 제단 앞에 나선 사제처럼 엄숙한 신명이 있다 . 그는 춤으로 기도한다 . 그 자신의 소원을 빌고 보는 이들의 소원을 모아 기도한다 . 춤으로 사람을 감동시키고 , 그 춤을 보는 사람들의 힘을 끌어내 커다란 느낌을 만들어 낸다 .“

( 출처 : 구희서 · 정범태 , ( 춤과 그 사람 ) 김명자 도살풀이 , 서울 ; 열화당 , 1992.)



김숙자보유자의 도살풀이춤 의상


故 김숙자 보유자와 함께한 도살풀이춤 의상은 그의 딸인 김운선 전수교육조교를 통해 지난 2013 년 국립무형유산원에 기증되었다 . 이 도살풀이춤 의상은 故 김숙자 보유자가 활발히 활동하던 1980 년대 초반 의상이다 . 김운선씨는 어머니의 유품인 살풀이 의상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 어머니가 사용하시던 살풀이 수건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 이는 전통춤을 추는 집안의 맥을 이으며 , 어머니이자 스승인 故 김숙자 보유자를 그리는 마음일 것이다 .

 

김숙자 ( 金淑子 , 국가무형문화재 제 97 호 살풀이춤 , 1927~1991)

1927 년 경기도 안성군에서 태어났으며 , 아이의 예술적 소질을 알아본 부친으로부터 춤을 직접 전수받았다 . 7 세부터 입춤 ( 기본 살풀이춤 ) 을 추었고 , 14 세 때 그의 이름이 경기도 전역에 알려질 만큼 재주가 놀라웠다고 전해진다 . 그러나 그 당시는 일제 강점기였기 때문에 우리의 춤과 창이 탄압받았고 , 부친께서는 집 뒤에 몰래 토굴을 파서 딸에게 춤을 가르치다가 부녀가 함께 유치장에 잡혀 들어가기도 했다 . 후에 , 김숙자 보유자는 77 년 문예진흥원 강당에서 첫 무속 무용 발표회를 했고 , 환갑이 넘은 나이에도 각종 국가 행사 공연과 해외공연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그리고 1990 년 국가무형문화재 제 97 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다음 해인 1991 년 별세하였다  

 

<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중요무형문화재 제 97 ) 살풀이춤 ,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8.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추진단 , (2013) 무형유산 : 기증자료집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추진단 , 2013.




컨텐츠 바로가기